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도깨비방망이 도깨비설화

by BADAYO 2022. 9. 23.
반응형

서양의 요정, 난쟁이, 악마처럼 판타지적인 존재로 우리나라에는 보다 친숙한 도깨비가 존재합니다. 도깨비는 한국의 예술 작품, 민담에 등장하는 상상의 존재로서 사람의 형상을 가지고 있기도 하고, 비상한 재주를 부립니다. 일본의 오니와는 분명 다른 존재로서 특정 대상이라기보다는 비슷한 특성을 가진 존재들의 묶어 부르는 통칭이라고 보시는 게 옮습니다.

 

 

그 모습 또한 특정한 형태가 아니라 한복을 입고 패랭이를 쓰고 다니는것이 우리 전통의 도깨비이며, 대다수의 도깨비는 자신의 성씨가 김가라고 말합니다. 사람을 괴롭히는 존재가 아니라 순하고 우직하며, 같이 놀고 싶어 하고 친하게 지내려고 하는 존재입니다.

따돌림을 당하면 화를 내고, 체면을 중시하며 시기와 질투도 많고 때론 멍청하기도 합니다.

 

 

메밀묵, 막걸리, 이야기, 노래, 씨름, 장난을 좋아하며 붉은 색을 싫어해서 팥과 피 등으로는 도깨비를 쫓을 수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인적 없는 야산이나 오래된 폐가에서 거주하다가 지나는 사람을 불러 씨름을 하자고도합니다.

민가에 내려와 장난으로 소를 지붕 위에 올려놓는다던지, 솥뚜껑을 솥 안에 집어넣거나 등의 장난을 칩니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도깨비 이야기로는 도깨비 대왕이라고 하는 귀왕(전신 치우), 이야기로 사람을 홀린다는 도깨비, 사람과 친해지려고 했다가 피를 보고 도망쳤다는 도깨비 이야기, 빈 쌀독에 쌀을 채워 넣거나 삼 년이 지나도록 돈을 내내 갚는다는 도깨비, 바늘을 무서워하는 도깨비의 이야기 등이 있습니다.

 

 

도깨비는 빗자루나 부지깽이, 깨진 사발, 짚신 등이 오래되어 혼이 깃들어서 생기며, 도깨비불, 그슨대, 어둑시니, 두억시니 등이 있습니다. 

이외에 눈에 보이지 않지만 청각적인 소리의 형태로 존재하는 도깨비도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일본의 오니와 혼동하는 도깨비의 특징은 머리에 뿔이 있고, 원시인 복장을 하고, 도깨비방망이를 들고 있습니다. 현대에 들어 이는 일제 강점기 때 일본의 오니라는 주장이 있습니다.

 

이화여대 인문학 연구원에서는 일본의 오니가 변형된 국적 불명의 도깨비에서 벗어나 한국 고유의 도깨비를 복원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EBS에서도 한국의 도깨비는 머리에 뿔이 달려있지 않고, 피부도 붉지 않으며, 사람들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 존재라는 이야기를 역사 채널 e 채널을 통해 알렸습니다.

 

하지만 뿔의 여부는 아직 논란이 있어서 뿔이난 도깨비도 있다는 주장이 포용성이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도깨비 방망이도 일제의 잔재로 알려져 있지만 의외로 도깨비 방망이는 그 형태가 달라 뾰족뾰족한 방망이는 아니지만 그냥 나무 방망이 형태지만 일본 오니의 방망이는 뚝딱하면서 무언가를 만들어 내는 능력은 오히려 없습니다. 이영도 작가의 눈물을 마시는 새에도 도깨비가 등장합니다. [위키백과]

반응형